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DSLR, 미러리스로 장노출 천체 촬영하기 – 입문자 실전 가이드 하늘을 사진으로 담아본다는 건별을 처음 찍어보고자 했을 때, 저는 막연히 '카메라 하나 있으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습니다. 당시 제가 가진 것은 미러리스 카메라와 삼각대 하나뿐이었고, 유튜브 몇 편으로 시작을 시도했죠. ‘별은 그냥 찍으면 되는 거지’라 여겼지만, 막상 찍어보니 아무것도 담기지 않았습니다.그날 밤 찍힌 건 시커먼 하늘뿐이었지만, 오히려 그 순간부터 천체사진이라는 또 다른 취미의 세계가 열렸습니다.카메라만으로도 별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망원경이 없어도 DSLR이나 미러리스와 삼각대만 있으면 은하수, 별자리, 별궤적 같은 천체사진을 충분히 찍을 수 있습니다. 광해가 심하지 않은 장소라면 성운의 색도 희미하게나마 표현됩니다. 다만, 몇 가지 준비와 세팅이 필요합니다. 천체사진은 '빛을 얼.. 2025. 7. 19.
GOTO 없이 별사진 가능할까? 직접 써본 후기 천체사진을 시작하려는 분들 중 상당수가 “GOTO 기능은 꼭 있어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과연 자동추적이 없으면 별사진을 찍는 것이 불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GOTO 없이도 충분히 별사진은 찍을 수 있습니다. 다만, 몇 가지 조건과 이해가 필요하죠.이 글은 제가 수동 적도의 장비로 딥스카이 촬영을 직접 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GOTO가 없는 경우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면 촬영이 가능한지를 정리한 실전 후기입니다. GOTO 시스템이란 무엇인가?GOTO는 망원경이 자동으로 하늘의 대상을 찾아가고, 추적까지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사용자는 타겟을 선택하기만 하면 망원경이 알아서 위치를 조정하고 추적해주기 때문에, 초보자 입장에서는 무척 편리해 보입니다.특히 별의 위치.. 2025. 7. 18.
천체사진 입문자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 TOP5 (내 경험담 포함) 별을 찍겠다고 장비부터 샀던 저의 흑역사, 지금 생각해보면 웃음이 납니다.천체사진을 처음 시작한 분들이 흔히 겪는 실수는 대부분 비슷한 패턴을 따릅니다. 저 역시도 별을 찍고 싶다는 단순한 로망으로 장비부터 샀다가, 수개월간 실패를 반복하며 많은 시간과 돈을 낭비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참 어리석었지만, 그만큼 확실히 배운 것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천체사진 입문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 5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혹시 여러분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1. 고배율에 대한 과한 집착천체망원경을 처음 구입할 때, 많은 입문자들이 저와 똑같은 실수를 합니다. "별을 크게 보고 싶으니까 고배율이 좋겠지"라는 생각이죠. 그.. 2025. 7. 18.
입문용 망원경으로 어떤 분화구까지 보일까? 밤하늘을 보다 보면 달이 유난히 선명한 날이 있죠.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조금만 확대해 보면, 표면에 뭔가 얼룩덜룩한 무늬들이 보일 겁니다.그 무늬들, 그냥 무늬가 아닙니다. 달에도 실제 지명과 지형이 있고, 각각 이름과 역사가 있는 천문 지도처럼 구성되어 있어요.이 글에서는 입문용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달의 주요 지형들과 초보자도 쉽게 찾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달에도 '지도'가 있다?달 표면에는 고유한 지형과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이름 대부분은 라틴어로 된 바다, 분화구, 산맥 등의 명칭으로 구성돼 있어요.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지형이 있습니다.Mare Tranquillitatis (고요의 바다): 아폴로 11호 착륙지 인근Tycho (티코 분화구): 방사형 줄무늬가 뻗은 가장 유명한 .. 2025. 7. 14.
"엄마, 별이 왜 반짝여요?" 아이가 물었을 때 이렇게 답해보세요 아이와 함께 밤하늘을 보다가, 문득 이런 질문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엄마, 저 별 왜 반짝여?"막상 들으면 너무 귀엽고 사랑스러운 질문이지만, 바로 대답하기는 쉽지 않죠.이 글에서는 별이 반짝이는 과학적인 이유부터, 아이에게 쉽게 설명해주는 방법, 그리고 별과 행성의 차이까지 부모님도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별은 왜 반짝이는 걸까?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별은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입니다.그런데 이 별빛은 지구에 도달하기 전에 지구의 대기층을 통과하게 돼요.이 대기에는 공기의 흐름, 온도 차, 수증기 등이 복잡하게 섞여 있어 별빛이 지구로 오는 길에 휘거나 흔들리게 됩니다.그 결과, 지상에서 보면 별이 마치 반짝거리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생기죠. 이걸 ‘섬광(閃光, sci.. 2025. 7. 14.
천체관측 날짜 고르는 법, 달력만 보면 돼요 “언제 별을 보면 가장 잘 보일까요?” 입문자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사실 천체관측에서 날짜 선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달력과 날씨 앱만 볼 줄 알면 누구나 ‘별 보기 좋은 날’을 고를 수 있어요.🌕 달이 있으면 좋을까, 없으면 좋을까?먼저, 관측 대상에 따라 달의 유무가 중요합니다.달을 보고 싶다 → 보름달 전후, 음력 14~16일별과 성운을 보고 싶다 → 달이 없는 날, 음력 1~5일 또는 25~29일달빛은 생각보다 강력합니다.밝은 달이 뜨면, 별빛이 상대적으로 묻혀서 어두운 천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그래서 별을 집중해서 보려면 ‘월령(月齡)’이 낮은 날을 고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 월령이 뭔가요?월령이란 ‘달이 태어난 지 며칠 되었는지’ 나타내는 숫자입니다.월령 0: 삭(달이.. 2025.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