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8일, 대한민국 전역에서 오랜만에 ‘붉은 달’ 개기월식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특별한 날이 찾아옵니다. 이번 개기월식은 새벽 시간에 진행되며, 전국 어디서든 전 과정이 완벽히 관측 가능한 보기 드문 기회입니다. 특히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특별 관측회를 개최하여, 천문 전문가의 해설과 라이브 망원경 관측,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즐길 수 있어 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1. 2025년 9월 개기월식
- 일자: 2025년 9월 8일 (월) 새벽
- 관측 가능 지역: 대한민국 전역
- 개기월식 전체 시간: 약 82분
- 붉은 달 관측 가능 시간대: 오전 2시 30분~4시 56분
- 고도(서울 기준): 최대 시점 약 31도, 남서쪽 방향
- 필요 장비: 맨눈 관측 가능 (망원경, 카메라 선택사항)
2.개기월식이란? 왜 달이 붉게 보일까?
개기월식은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본그림자(umbra)가 달을 완전히 가릴 때 발생합니다.
이때 달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붉은색을 띄게 되는데 이는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이 굴절되어 달 표면을 붉게 비추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을 흔히 “Blood Moon(블러드문)”이라 부르며, 천문 마니아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특별한 관측 대상이 됩니다.
3.서울 기준 개기월식 시간표 (2025년 9월 8일)
반영 시작 (P1) | 01:26 |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서며 흐려지기 시작 |
부분식 시작 (U1) | 02:30 |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기 시작 |
개기 시작 (U2) | 03:11 | 달 전체가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며 붉은색으로 변함 |
개기 최대 (Greatest) | 03:32 | 가장 붉게 물드는 순간 |
개기 종료 (U3) | 03:53 | 달이 다시 서서히 밝아지기 시작 |
부분식 종료 (U4) | 04:56 | 월식 종료 |
☝️ 달이 완전히 붉게 보이는 시간은 03:11~03:53 사이 약 42분간입니다.
📸 이 시간대는 특히 사진 촬영에 가장 적합한 황금 시간대입니다.
4.국립과천과학관 개기월식 특별관측회 안내
2025년 9월 7일 밤부터 8일 새벽까지, 국립과천과학관은 ‘붉은 달’을 테마로 한 특별 야간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행사명: 2025 개기월식 특별관측회
- 일시: 2025년 9월 7일(일) 23:00 ~ 9월 8일(월) 04:00
- 장소: 국립과천과학관 천문대 및 전시관 일대
- 참가비: 무료 (일부 프로그램 예약 필요)
주요 프로그램
천체관측 | 실시간 망원경 관측 | 야외, 선착순 입장 |
돔 영상 | 천체투영관 상영 | 예약 필수 |
릴레이 강연 | 개기월식 해설 강연 | 예약 필수 |
버스킹 & 라디오 | ‘별보라’ 생방송, 음악 공연 | 자유 참여 |
포토존 | 별빛 배경 포토존 운영 | 현장 운영 |
사전 예약 프로그램 안내
- 예약 가능 기간: 9월 1일 ~ 9월 6일 23:59까지
- 예약 방법:
-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후 ‘교육/행사 → 천문행사’ 선택
- 개별 프로그램별 사전 신청
⚠️ 인기 프로그램은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른 예약 필수!
5.우천 또는 기상 악화 시 대처 방안
날씨가 좋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은 대체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흐림/비 | 천문 관측 → 실시간 중계로 전환 |
폭우/강풍 | 야외 프로그램 취소 → 실내 강연 및 영상만 진행 |
예약 프로그램 | 일정 변경 시 개별 문자 안내 예정 |
6.관측 & 사진 촬영 꿀팁
🔭 맨눈 관측 요령
- 가급적 빛 공해가 적고 고도가 높은 장소 추천 (예: 산책로, 야외 공원, 교외 지역)
- 달의 이동 경로는 남서쪽 하늘 중심
- 손전등이나 밝은 스마트폰 화면은 꺼두기 → 눈의 암적응 유지가 중요
📷 사진 촬영 팁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는 성능이 매우 좋아져서, DSLR 없이도 멋진 개기월식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특히 삼성 갤럭시 S 시리즈, 아이폰 14 이상, 샤오미·오포 등의 고급형 모델을 사용 중이라면 아주 훌륭한 달 사진이 가능해요.
필수 준비물
- 삼각대: 흔들림 방지. 저렴한 미니 삼각대라도 필수!
- 블루투스 리모컨 또는 타이머: 셔터 누를 때 흔들림 방지
- 카메라 앱(Pro 모드 지원): 기본 카메라 외에 매뉴얼 설정 가능한 앱 추천
(예: Halide(아이폰), ProCam, Open Camera(안드로이드))
촬영 전 세팅
촬영 모드 | ‘전문(Pro)’ 또는 수동 모드 |
포커스 | 수동 → 무한대(∞) 맞추기 |
ISO | 400~800 (달 밝기 따라 조절) |
셔터 속도 | 1/100 ~ 1초 사이 (달의 밝기 따라 테스트) |
노출(Exposure) | -1.0 ~ -2.0으로 줄이기 (달의 디테일 강조) |
줌 배율 | 3배~10배 광학줌 권장 (디지털 줌은 화질 손실 큼) |
아이폰은 ‘사진 → 노출 조절’을 꾹 누르고 조정하거나, Live Photo 모드 후 나중에 보정도 가능
갤럭시는 ‘Expert RAW’ 앱 설치 시 훨씬 더 디테일하게 조정 가능
추천 촬영 방법
- 먼저 일반 촬영으로 밝기 확인 → Pro 모드로 전환해 테스트 촬영 반복
- 달 단독 촬영보다는 주변 풍경 + 달을 같이 담으면 분위기 ↑
- HDR 모드 끄기: 달의 붉은 빛을 자연스럽게 담기 위해
- 노출 브래킷(다양한 노출로 연속 촬영) 활용해 베스트 컷 확보
7.개기월식 요약 캘린더 (2025~2028)
2025 | 9월 8일 | 개기월식 | 전 과정 관측 가능 | 과천과학관 행사 동시 진행 |
2026 | 3월 3일 | 개기월식 | 관측 가능 | 상세 시간 추후 공지 |
2028 | 12월 31일 | 개기월식 | 관측 가능 | 새해 맞이 ‘블러드문’ |
8. 이번 개기월식 절대 놓치지 마세요!
2025년 9월 8일은 천문학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특별한 밤이 될 것입니다.
붉게 물든 달을 직접 두 눈으로 확인하고, 과학적 의미까지 함께 이해할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죠. 특히 국립과천과학관의 특별관측회는 자녀 교육용, 커플 데이트, 사진 촬영용으로도 최고의 장소입니다.
올가을 밤하늘, 붉은 달과 함께하는 추억을 기록해보세요.
목성 특징 총정리(+자전 공전, 크기, 위성, NASA 실제사진)
목성(Jupiter)은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이자, 우주 과학에서 끊임없이 주목받는 천체입니다. 그 크기만으로도 압도적이지만, 자전 속도, 공전 주기, 대기 구조, 위성계, 자기장 등 모든 면에
astro.real-solution.kr
입문자용 천체망원경, 비싼 거 필요 없습니다 – 이 3가지만 보세요(2025년 기준)
“딱 하나만 추천해주세요!”이런 명쾌한 답을 원하시는 분들 많으시죠?특히 입문자일수록 선택에 더 고민이 많으니까요. 하지만 천체관측에서는 그렇게 쉽게 고르기 어렵습니다.(죄송합니다,
astro.real-solution.kr
여름 은하수 찍는 법 – 장소, 시간, 장비, 촬영 꿀팁까지 총정리
여름 밤하늘의 꽃, 바로 은하수입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흐릿한 띠를 처음 눈으로 봤을 때의 감동은 잊기 힘들죠. 그걸 카메라에 담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는 건 너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하
astro.real-solution.kr
2025 하반기 보름달 뜨는 날, 뜨는 시간 완벽 정리(+보름달 종류, 특징)
올해 하반기에도 어김없이 우리 곁에 찾아올 보름달.하지만 단순히 “달이 뜬다”는 사실만 아는 것과, 정확한 시간과 특징을 알고 준비하는 것은 전혀 다릅니다.저는 매년 보름달을 챙겨보는
astro.real-solution.kr
비행기은하수 촬영 필수템!! 비행기 별 촬영 꿀팁, 렌즈스커트 (여행 전 미리)
비행기 창밖으로 밤하늘을 바라보며 '지금 이 장면을 사진으로 담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특히 남반구, 또는 여름철 고도 높은 항로를 지날 때는 은하수 중심부가 장관을 이루죠.저
astro.real-solutio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