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블러드문, 개기월식 시간, 관측, 촬영법 완벽가이드(+과천과학관 예약링크 총정리) 2025년 9월 8일, 대한민국 전역에서 오랜만에 ‘붉은 달’ 개기월식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특별한 날이 찾아옵니다. 이번 개기월식은 새벽 시간에 진행되며, 전국 어디서든 전 과정이 완벽히 관측 가능한 보기 드문 기회입니다. 특히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특별 관측회를 개최하여, 천문 전문가의 해설과 라이브 망원경 관측,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즐길 수 있어 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1. 2025년 9월 개기월식일자: 2025년 9월 8일 (월) 새벽관측 가능 지역: 대한민국 전역개기월식 전체 시간: 약 82분붉은 달 관측 가능 시간대: 오전 2시 30분~4시 56분고도(서울 기준): 최대 시점 약 31도, 남서쪽 방향필요 장비: 맨눈 관측 가능 (망원경, 카메라 선택사항)2.개기월식이란? 왜 .. 2025. 9. 2.
목성 특징 총정리(+자전 공전, 크기, 위성, NASA 실제사진) 목성(Jupiter)은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이자, 우주 과학에서 끊임없이 주목받는 천체입니다. 그 크기만으로도 압도적이지만, 자전 속도, 공전 주기, 대기 구조, 위성계, 자기장 등 모든 면에서 독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까지도 NASA의 탐사선이 보내온 데이터는 우리가 이 행성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목성의 자전과 공전, 내부 구조, 위성, 대기, 자기장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며, 최신 이미지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재정리합니다.1. 목성의 기본 스펙: 크기와 질량지름: 약 142,984km (지구의 11.2배)부피: 지구의 약 1,321배질량: 지구의 318배표면 중력: 지구의 2.5배밀도: 지구보다 낮음 (수소와 헬륨이 주성분)목성은 가스형 .. 2025. 8. 27.
국제우주정거장 보는 법(+육안 관측, 어플 총정리) 밤하늘을 올려다보다 보면 은은히 반짝이는 별들 사이로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천천히 지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맨눈으로 보이는 ‘인공 별’이라 불릴 만큼 신비로운 이 존재는,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우주 체험 중 하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경험한 한국에서 ISS 관측 경험을 바탕으로, 관측 방법, 관측 앱 활용 팁, 관측 시기, 그리고 실전 노하우까지 꼼꼼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국제우주정거장(ISS)이란?ISS는 1998년부터 궤도에 운영 중인 다국적 우주 연구 기지로, NASA, Roscosmos, ESA, JAXA, CSA가 협력합니다.지구 상공 약 400km를 시속 약 28,000km 속도로 도는 이 인공 구조물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90~93분 정도가 소요.. 2025. 8. 16.
유성우 보는 법(+관측 시기 총정리) 하늘 위로 쏟아지는 별똥별—유성우는 자연이 주는 가장 찬란한 쇼입니다.매년 특정 시기에 반복되는 이 천문현상은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있지만, 제대로 관측하려면 시기와 장소, 조건을 꼼꼼히 챙겨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특히 2025년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중심으로, 관측 시기 총정리와 실전 팁, 그리고 개인적 시선을 담았습니다.1. 유성우란 무엇인가?유성우는 지구가 혜성이 남긴 궤적의 먼지를 통과하며 밀도 높은 유성체와 부딪힐 때 발생합니다.대표적 정기 유성우로는 페르세우스 자리 유성우(Perseids), 쌍둥이자리 유성우(Geminids), 오리온자리 유성우(Orionids) 등이 있습니다. 2. 2025년 관측 가능한 유성우 주요 일정유성우 이름활동 기간최대 활동 시기달빛 영향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7월.. 2025. 8. 16.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도심 행성 관측 총정리) 천체관측은 망원경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하늘이 맑고 빛공해가 적은 지역이라면, 맨눈으로도 행성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하반기 기준으로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주요 행성들과 그 특징, 관측 시기, 위치 등을 정리해드립니다.1.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주요 행성태양계 8개 행성 중에서, 일반적으로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은 맨눈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별보다 밝게 빛나며, 별처럼 깜빡이지 않고 일정한 빛을 냅니다.2. 2025년 하반기 행성별 관측 정보행성관측 가능 시기특징관측 팁금성10월 ~ 12월 새벽태양 다음으로 밝은 천체, 새벽에 떠오름해 뜨기 1~2시간 전 동쪽 하늘 주목화성9월 ~ 11월 새벽붉은색을 띄는 소형 행성약간 흐릿한 붉은빛 확인.. 2025. 8. 14.
2025년 하반기 계절별 별자리 총정리(+별자리 관측 가이드)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별자리를 찾는 일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가을과 겨울은 대기의 습도가 낮아 별빛이 더욱 또렷하게 보이는 계절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하반기(가을~겨울)에 관측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와, 이를 손쉽게 찾는 방법, 그리고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별자리 관측 팁을 정리해드립니다.1. 별자리를 관측하기 좋은 시기가을(9~11월): 일찍 어두워지며 관측 시간 확보가 용이겨울(12~2월): 대기 중 수증기가 적어 별빛이 선명함특히 2025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는 달빛 간섭이 적은 신월 시기(10/3, 11/1, 12/1 전후)를 활용하면 맨눈으로도 많은 별자리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2. 가을 별자리 (2025년 9~11월)① 페가수스자리가을의 대표 별자리로, 하.. 2025. 8. 14.